Ⅹ장 인터넷의 활용



Ⅹ-1. 개요


가상커서는 인터넷 문서와 PDF 문서를 시각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읽을 수 있도록 캐럿 기능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터넷 문서란 파일 확장자가 '.html'이나 '.htm'인 문서들 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와 브라우저가 사용된 모든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가상커서 기능이 동작하는 프로그램들 종류에는 크롬, 윈도우즈 도움말,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의 프로그램이 대표적입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센스리더 환경 세부설정의 '가상커서 자동 사용' 옵션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실행과 함께 가상커서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가상커서의 설정이나 기능키를 변경하려면 가상커서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 <Ctrl-Shift-F9> 키를 눌러 팝업 메뉴를 열고 각각 [설정] 메뉴와 [키 설정] 메뉴를 실행하도록 합니다.

센스리더 8.5 부터 크롬,파이어폭스 브라우저에서는 기존과 다른 설정과 기능키로 동작이 됩니다.

가상커서는 내용 읽기 기능, 이동 기능, 목록 기능, 찾기 기능 등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가상커서는 3.2.2.0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는 '가상커서 탭키' 환경과 4.0.0.0부터 적용되는 '브라우저 탭키' 환경으로 나뉘어 집니다.
기존 기능키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가상커서 탭키' 환경을 사용하실 수 있으며, 가상커서의 기본 값은 '브라우저 탭키' 환경으로 정의됩니다.
또한 5.3버전 부터는 브라우저 탭키 환경과 가상커서 탭키 환경을 효율적으로 변경 할 수 있으며, 기능키는 <F9>키로 쉽게 전환이 가능합니다.


Ⅹ-2. 가상커서 탭키 기능


'가상커서 탭키' 환경에서는 <Tab> 키로 웹 페이지를 탐색할 때, 원본 HTML 문서가 작성된 순서를 따라 포커스 이동이 됩니다.
자동 포커스 설정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Tab> 키 이동, 위아래 방향키 이동 중에 링크를 만나면 HTML에 등록된 포커스 이벤트가 동작하게 됩니다.
실제 브라우저의 탭 순서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Insert-Tab> 또는 <Insert-Shift-Tab> 키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가상커서 탭키 기능 보기를 참고해 주세요.


Ⅹ-3. 브라우저 탭키 기능


'브라우저 탭키' 환경에서는 <Tab> 키로 웹 페이지를 탐색할 때, tabindex 속성이 적용된 웹브라우저의 실제 탭 순서대로 포커스 이동이 됩니다.
자동 포커스 설정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Tab> 키 이동, 위아래 방향키 이동 중에 링크를 만나면 HTML에 등록된 포커스 이벤트가 동작하게 됩니다.
HTML 원본의 탭 순서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Insert-Tab> 또는 <Insert-Shift-Tab> 키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브라우저 탭키 기능 보기를 참고해 주세요.